기조강연 세계적인 슈퍼 IP의 NEXT 비전 |
|
---|---|
11:00~11:45 | 사회자: Clare Thompson (Non-Executive Director, K7 Media) |
[발표] Licensed to Thrill – The Peaky Blinders Airport Experience Leila Loumi (Senior Vice President Licensing - Global Consumer Products, Banijay Rights) |
|
11:45~13:00 | 점심 시간 |
스페셜 세션 1 글로벌 기업의 IP 비즈니스 전략 - Hasbro, SEGA |
|
13:00~13:50 |
[발표 1] 스토리텔링의 힘 / The Power of Story Telling Marie Kopp (Director, Consumer Products APAC(excl China) & MENA, Hasbro) |
[발표 2] SEGA - IP Licensing and Transmedia Strategy Masakazu Soeda (Director, Head of Licensing, Consumer Products APAC and Middle East, SEGA) |
|
13:50~14:00 | 휴식 시간 |
세션 1 우리의 일상, 콘텐츠IP : <화산귀환>에서 <가나디>까지 |
|
14:00~14:50 |
[발표 1] 글로벌 팬덤을 사로잡은 웹툰과 한국을 대표하는 누룩 명인의 만남 이지민 (대동여주도 대표) *대동여주도는 글로벌 팬덤을 보유한 웹툰 <화산귀환>과 콜라보로 술 ‘청명주’ 출시 |
[발표 2] 콘텐츠IP의 일상화와 머천다이징 전략 : HNF의 사례 중심으로 양승효 (HNF 대표이사) *HNF는 <카카오프렌즈> 라이선스를 시작으로, 최근 <가나디>라는 강아지 IP를 활용하여 팝업스토어, 다양한 제품 출시로 많은 사랑을 받음 |
|
14:50~15:00 | 휴식 시간 |
세션 2 K-POP IP 비즈니스 |
|
15:00~15:50 |
[발표 1] 케이팝의 IP 사업은 무엇이고 왜 중요할까? 차우진 (엔터문화연구소: TMI.FM 대표) |
[발표 2] K-POP IP를 활용한 OSMU 전략 이호동 (테이크원컴퍼니 IP사업본부 이사) |
|
15:50~16:00 | 휴식 시간 |
라이브 토크 1 스포츠 IP 브랜딩 전략 |
|
16:00~16:45 | 사회자: 문소리 (아나운서) |
패널: 김찬헌 (TVING 스포츠팀 팀장) | |
패널: 김민정 (코리아세븐(세븐일레븐) 마케팅 부문장) | |
패널: 김종호 (롯데자이언츠 경영부문장) | |
패널: 박지영 (블루밍테일 대표이사) | |
16:45~17:00 | 휴식 시간 |
라이브 토크 2 한국 대표 고전 IP의 귀환 : 애니메이션으로 부활한 <퇴마록> |
|
17:00~17:45 | 사회자: 이자연 (씨네21 기자) |
패널: 이우혁 (소설가 <퇴마록>) | |
패널: 김동철 (로커스 애니메이션사업본부 감독 <퇴마록>) | |
* 상기 프로그램은 사전 안내 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라이브 토크 3 <중증외상센터 : 골든아워> 원작자와 함께하는 IP 비즈니스 이야기 |
|
---|---|
11:00~11:45 | 사회자: 두일철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패널: 이낙준 (웹소설작가 필명 '한산이가', <중증외상센터 : 골든아워>) | |
패널: 여상훈 (빅드림 경영기획실 실장) | |
11:45~13:00 | 점심 시간 |
세션 3 게임과 IP, IP와 게임 |
|
13:00~13:50 | 사회자: 이재명 (BKU 인베스트먼트 파트너) |
패널: 이형원 (구글 구글플레이 게임 파트너쉽 총괄) | |
패널: 남주연 (틸팅포인트 코리아 대표이사) | |
패널: 김지인 (그램퍼스 공동설립자 및 대표이사) | |
패널: 강석곤 (데브시스터즈 IP브랜딩 그룹장) | |
패널: 이민정 (네오위즈 HIDEA 사업실장) | |
13:50~14:00 | 휴식 시간 |
세션 4 <피너츠>와 <무민> IP 에이전트가 말하는 슈퍼 IP 비하인드 |
|
14:00~14:50 |
[발표 1] 피너츠와 글로벌 IP의 현지화 안수진 (WildBrain CPLG 한국지사장) *WildBrain은 캐나다 기반, 미디어 상품 회사이자 애니메이션 제작사, <피너츠(Peanuts)>, <텔레토비(Teletubbies)>, <스트로베리 쇼트케이크(Strawberry Shortcake)> 등 IP를 보유하고 라이선싱 사업을 진행 |
[발표 2] Licensing Success: Celebrating Brands and Building Long-Term Growth Bianca Lee (CEO, Rights & Brands Asia Limited) *Rights & Brands는 올해 80주년을 맞는 <무민(Moomin)>의 라이선싱 사업을 담당하는 아시아 총괄 에이전트 |
|
14:50~15:00 | 휴식 시간 |
세션 5 한국IP가 선도하는 글로벌 라이선싱 |
|
15:00~15:50 |
[발표 1] <잔망루피> 사례를 통한 중국 캐릭터 IP 사업 전략 김원정 (아이코닉스 중국 상해법인 법인장) |
[발표 2] 캐릭터 IP <에스더버니>의 국내 및 해외 마케팅 전략 김현경 (케이비젼 대표이사) *케이비젼은 국내외 유명한 캐릭터, 브랜드 등의 IP를 발굴하여 사용 권리를 취득, 마케팅 및 상품화 사업을 진행하는 라이선싱 전문회사, 특히 <흔한남매>, <슈야>, <파피플레이타임>, <에스더버니> 등 다양한 IP 사업을 진행. 최근 <에스더버니> (Esther Bunny)는 100여 개 업체와 1,000여 개 품목에 라이선스 계약 |
|
15:50~16:00 | 휴식 시간 |
스페셜 세션 2 2025 글로벌 IP Biz 트렌드 분석 |
|
16:00~16:45 |
[발표] 글로벌 라이선싱 산업 동향 / State of the Licensing Industry Maura Regan (President/CEO, Licensing International) |
16:45~17:00 | 휴식 시간 |
라이브 토크 4 넥스트 슈퍼 IP, <전지적 독자 시점>의 무한 확장 |
|
17:00~17:45 | 사회자: 김성훈 (씨네21 기자 / 디지털콘텐츠본부장) |
패널: 원동연 (리얼라이즈픽쳐스 대표) | |
패널: 김병우 (리얼라이즈픽쳐스 감독) | |
17:45~17:50 | 폐회사 |
* 상기 프로그램은 사전 안내 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Clare Thompson
K7 Media[발표시간] 7/17 (목) 11:00 ~ 11:45
Clare는 영국의 대표적인 TV 컨설팅 기업인 K7 Media의 비상임이사로 재직하고 있으며, 전 세계 방송사 및 제작사 고객을 대상으로 글로벌 콘텐츠 트렌드, 국제 비대본 포맷,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에 대해 글을 쓰고 발표하는 활동을 꾸준히 하고 있다. 경력 초기에 ITV를 포함한 여러 기업에 개발팀을 이끌었던 클레어는 현재 미국, 유럽, 아시아 지역의 방송사와 제작사를 대상으로 콘텐츠 개발 및 피칭 워크숍, 팀 트레이닝 세션, 채널 편성 전략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GrowthLab 런던, MIPCOM, NATPE 부다페스트 등 업계 행사에서 마스터클래스 및 패널 토론을 기획하고 진행한 바 있다.
Clare is Non-Executive Director of the UK's leading TV consultancy K7 Media, regularly writing and presenting on global content trends, the international non-scripted formats market and branded entertainment for their broadcast and production clients around the world. Having spent her early career heading up development teams (including several years at ITV) Clare also runs development and pitching workshops, team training sessions and channel commissioning strategy projects for broadcast and production clients in the US, Europe and Asia. She has produced and hosted masterclasses and panels at industry events such as GrowthLab London, MIPCOM and NATPE Budapest.
Leila Loumi
Banijay Rights[발표시간] 7/17 (목) 11:00 ~ 11:45
25년 이상의 경력을 지닌 Leila Loumi는 엔터테인먼트, 게임, 글로벌 기업, 라이프스타일, 셀러브리티, 하이엔드 패션 등 다양한 분야의 브랜드를 관리한 방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오늘날 라이선싱 업계에서 가장 뛰어난 경영진 중 한 명으로 꼽힌다.
Banijay 엔터테인먼트 산하 글로벌 콘텐츠 유통사인 Banijay Rights에서 글로벌 소비재 부문 수석부사장을 맡고 있는 그녀는 Banijay Rights 팀과 긴밀히 협력하면서 세계적인 라이선싱 프로그램을 구축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Banijay Rights 입사하기 전 Beanstalk, TBS 유럽, Warner Media, Licensing Matters Global 등 유수 기업에서 고위직을 역임하면서 글로벌 라이선싱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기획 및 출시하고 유지한 바 있다.
소비재 라이선싱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과 전반적인 이해와 함께 업계 통찰, 제품 개발 전문성, 전략적 채널선정, 리테일 프로그램 운영 능력을 갖추고 있다. 브랜드 소유사, 제조사/라이선스 보유사, 라이선싱 대행사 등 업계 전반에 걸친 활동을 바탕으로 한 통찰력이 강점이다.
소프트라인(의류/신발/섬유 등), 하드라인(가전/가구/전자제품 등), 라이브 이벤트, 호스피탈리티, 식품을 포함한 광범위한 제품 카테고리를 아우르는 경험을 쌓았으며, 브랜드 전략 수립 및 실행 과정에 국제적인 시각을 접목하여 여러 시장에서 장기적인 성공을 거두어 왔다.
In a career spanning over 25 years, Leila Loumi is one of the most accomplished executives working in the licensing industry today, with extensive experience managing brands across entertainment, gaming, global corporate, lifestyle, celebrity, and high-end fashion sectors.
As Senior Vice President at Banijay Rights – Global Consumer Products, Leila is focused on building global licensing programs in close collaboration with the wider team at Banijay Rights –the global distribution arm of content powerhouse Banijay Entertainment.
Prior to this role, she held senior positions at renowned companies such as Beanstalk, Turner Broadcasting System Europe, Warner Media and Licensing Matters Global, and has demonstrated success in launching, building and sustaining global licensing programs.
Leila has a depth of knowledge and a thorough understanding of consumer product licensing,combining deep industry insight, product development expertise, strategic retail placement and retail programme management. Her unique perspective comes from having worked across allsides of the industry: licensors, manufacturers/licensees, and licensing agencies.
Her experience spans a wide range of product categories, including softlines, hardlines, live experiences, hospitality, and food– and she consistently applies an international and global lens to brand strategy and execution, ensuring relevance and long-term success across diverse markets.
[강연제목]
짜릿한 라이선싱: 피키 블라인더스 공항 체험
Licensed to Thrill – The Peaky Blinders Airport Experience
[강연내용]
TBD
TBD
Marie Kopp
Hasbro[발표시간] 7/17 (목) 13:00 ~ 13:50
Marie는 유럽과 북미 그리고 아시아 전역에서 20년 이상의 라이선싱 및 소비자 제품 분야 경력을 지닌 베테랑으로, 현재 Hasbro 싱가포르에서 소비재 디렉터로 재직하면서 동남아시아, 일본, 한국, 인도, 중동, 태평양 지역을 총괄하고 있다.
Hasbro에 입사하기 전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와 월트 디즈니 컴퍼니와 같은 업계 대표기업의 리테일, 전자상거래, 카테고리 매니지먼트 등 다양한 부서에서 근무한 바 있다.
특히 어린이 분야를 중심으로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대한 열정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는 그녀는 프랑스 출신으로 레위니옹 섬에서 성장했고 토론토에서 7년을 거주하며 캐나다 시민권을 취득했으며, 현재는 싱가포르에서 10년째 거주 중이다. 세 자녀의 어머니로 남편과 가족이 함께 다양한 국제적인 여정을 이어가고 있다.
Marie is a seasoned executive with over 20 years of experience in licensing and consumer products across Europe, North America and Asia. She is currently the Director for Consumer Products at Hasbro Singapore. Her region includes South East Asia, Japan, Korea, India, Middle East and Pacific.
Prior to Hasbro she worked with the biggest brands in the industry such as Warner Bros Discovery and The Walt Disney Company in various departments including Retail, E-commerce, and category management.
She has always been passionate about the entertainment industry especially in the kid's sector.
Marie is originally from France, she grew up in Reunion Island and became Canadian after 7 years in Toronto. She has now been in Singapore for 10 years.
She is also a mother of 3 kids who have followed her and her husband in their adventures abroad.
[강연제목]
스토리텔링의 힘
The power of Story Telling
[강연내용]
라이선싱이란 무엇이며, 이것이 브랜드와 제품의 시장 포지셔닝에 어떤 도움을 주는가? 아시아 특히 한국에서의 라이선스 프로그램의 성공이 브랜드의 매출 증대 및 시장 점유율 확대에 기여한 최근 사례를 살펴본다.
What is licensing and how can this help your brand and product positioning in the market.
Some recent example in Asia and specifically here in Korea on how licensed programs success allowed brands to achieve more sales and increase their market share.
Masakazu Soeda
SEGA[발표시간] 7/17 (목) 13:00 ~ 13:50
Masakazu Soeda는 글로벌 캐릭터 라이선싱 분야에서 17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세가(SEGA)에 입사하기 전, 산리오(Sanrio)에서 해외사업 총괄(GM), Paramount Global(구 ViacomCBS)에서 소비재 라이선싱 부문 부사장, 유니클로 UT에서 남성 및 캐릭터 라이선싱 책임자를 비롯하여 여러 직책을 역임한 바 있다. 2024년부터는 아시아태평양 및 중동 지역의 라이선싱 사업을 총괄하고 있다.
Masakazu(Kaz) Soeda, has 17+ years of experience on global character licensing. Prior to joining SEGA CORPORATION, he served several position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GM of International Business at Sanrio Company, Ltd, VP of Licensing, Consumer Products at Paramount Global(former ViacomCBS), Head of Licensing(Mens, Character) at Uniqlo UT. Since 2024, he has been leading Licensing business for APAC and Middle East.
[강연제목]
SEGA – IP 라이선싱 및 트랜스미디어 전략
SEGA - IP Licensing and Transmedia Strategy
[강연내용]
최근 SEGA의 트랜스미디어 전략과 이를 글로벌 차원에서 IP 라이선싱을 통해 어떻게 구현해 왔는지 소개하고, 한국 시장에 대한 SEGA의 시각을 공유한다.
Masakazu(Kaz) Soeda, will go through recent SEGA's Transmedia Strategy and how SEGA has been implementing it at global scale using IP licensing example and how SEGA sees Korea market.
이지민
대동여주도[발표시간] 7/17 (목) 14:00 ~ 14:50
이지민은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에서 광고 홍보를 전공했으며, 현재는 전통주 콘텐츠·유통 플랫폼 대동여주도의 대표이다. LG상사와 CJ푸드빌 등을 거쳐 F&B, 주류 마케팅을 20년 넘게 해온 경력을 바탕으로 한국의 술을 전방위에서 알리는 데 앞장서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만찬주, 평창 동계 올림픽 만찬주, 2022 세계지식포럼 만찬주를 추천한 경험이 있으며, 전국 300여 곳이 넘는 양조장 컨설팅을 진행하며, 대한민국 주류대상을 비롯한 각종 대회의 심사 진행을 맡고 있다. 대동여주도는 1천여 개가 넘는 전국의 양조장 중에서 우리 땅에서 자란 농산물로 빚은 전통주를 발굴하고 한국의 술에 가치를 불어넣는 일을 하는 회사다.
Jimin Lee holds a Master's degree in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from the Graduate School of Communication & Arts at Yonsei University, and is currently the CEO of Daedong Yeoju-do, a platform specializing in traditional Korean liquor content and distribution. With over 20 years of experience in F&B and liquor marketing at companies such as LG International and CJ Foodville, she has been a leading advocate for Korean traditional alcohol across various sectors. She has recommended traditional liquors for major events, including the state banquet for President Donald Trump,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banquet, and the 2022 World Knowledge Forum. She has also provided consulting services to more than 300 breweries nationwide and has served as a judge for major industry competitions, including the Korea Liquor Awards.
[강연제목]
글로벌 팬덤을 사로잡은 웹툰과 한국을 대표하는 누룩 명인의 만남
The Ultimate Collaboration : Korea's Leading Nuruk Master Meets a Global Webtoon Icon
[강연내용]
거대 웹툰 <화산귀환> IP와 한영석 명인의 술, '화산귀환 청명주' 이야기.
- 웹툰의 세계관과 명주의 철학이 만나 문화콘텐츠로 승화, 2024년 7억 원 매출 달성, 2025년 오크 소주 런칭으로 단기간 4억 매출 달성. 웹툰 팬덤과 주류 팬덤의 열렬한 반응과 함께 한정판 완판 기록, 웹툰 IP와 한국 술의 성공적인 융합 사례로 IP 비즈니스 모델의 확장성을 보여준다.
The Story of ‘Return of the Blossoming Blade Cheongmyeongju’ : A Collaboration Between the Mega Webtoon IP and Master Artisan Youngseok Han
The philosophy of a master brewer meets the epic universe of a global hit webtoon, culminating in a cultural product that transcends both genres. This unique collaboration between Return of the Blossoming Blade and Korea's renowned traditional liquor master Han Youngseok achieved remarkable success:
·Over KRW 700 million in sales in 2024
·KRW 400 million in early sales for the upcoming oak-aged soju launching in 2025
With sold-out limited editions and enthusiastic responses from both webtoon fans and traditional liquor enthusiasts, this project has become a leading example of how Korean IP and craft culture can merge to create a new, scalable business model. It proves the potential of cross-industry collaboration between storytelling and traditional Korean spirits.
양승효
HNF[발표시간] 7/17 (목) 14:00 ~ 14:50
양승효는 메리츠증권과 삼성증권에서 기업금융 및 대체투자 관련 업무를 수행하였으며, 현재는 IP 산업과 금융 노하우를 접목한 콘텐츠 라이선싱 사업을 전개하는 HNF의 대표이사로 재직 중이다. 콘텐츠 IP 투자 사례를 주제로 엔터테인먼트법학회에서 발표한 바 있다.
Seunghyo Yang has worked in corporate finance and alternative investments at Meritz Securities and Samsung Securities. As the CEO of HNF, he now integrates his financial expertise into the IP industry, leading consumer product licensing using global and original content IPs. He also presented on content IP investment strategies at the Korean Society for Entertainment Law.
[강연제목]
콘텐츠IP의 일상화와 머천다이징 전략: HNF의 사례 중심으로
Lifestyle Merchandising with Content IP: The HNF Experience
[강연내용]
HNF는 콘텐츠IP를 활용하여 생활용품, 키친웨어, 문구 등 다양한 제품을 머천다이징하고 있으며, 카카오프렌즈와 피너츠 등 인기 IP를 일상 속 제품으로 구현해 왔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콘텐츠IP가 소비자의 일상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HNF의 상품 기획과 유통 전략, 브랜드 운영 사례를 소개합니다.
HNF specializes in merchandising Content IP across lifestyle categories such as home goods, kitchenware, and stationery. With popular IPs like Kakao Friends and Peanuts, HNF transforms beloved characters into everyday consumer products. This presentation will focus on how Content IP is applied to daily life, sharing HNF's approach to product planning, distribution, and brand operations.
차우진
엔터문화연구소[발표시간] 7/17 (목) 15:00 ~ 15:50
차우진은 1994년, 한양대학교에서 영어영문학을 전공했다. 1999년부터 음악 칼럼을 썼고, 2002년 졸업 후 NAVER, CINE21, 메이크어스 등의 회사에서 일했다. 2020년부터 ‘차우진의 엔터문화연구소’를 운영하며 콘텐츠, 팬덤, IP에 대한 뉴스레터 발행, 8부작 다큐 <케이팝 제너레이션> 제작, 관련 기업/기관의 사업 컨설팅을 하고 있다.
Woojin Cha majored in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at Hanyang University in 1994. He began writing music columns in 1999, and after graduating in 2002, he went on to work at companies such as NAVER, CINE21, and MakeUs. Since 2020, he has been running the ‘K-pop Strategy Lab’, publishing newsletters on content, fandom, and IP, producing the 8-part documentary <K-Pop Generation>, and providing business consulting to related companies and institutions.
[강연제목]
케이팝의 IP 사업은 무엇이고 왜 중요할까?
Understanding the K-Pop IP business: What It Is and Why It Matters
[강연내용]
케이팝의 IP는 음악 IP와 아티스트 IP로 나뉜다. 그래서 케이팝의 IP 비즈니스를 이해하려면 전통적인 음악 사업 구조와 케이팝 사업 구조를 비교해야 하고, 그로부터 무엇이 다르고 어떻게 확장 가능한지 살펴야 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케이팝의 IP 사업은 현재 위기다.
K-pop IP can be broadly divided into music IP and artist IP. To truly understand the K-pop IP business, it's essential to compare the traditional music industry structure with that of the K-pop ecosystem. This comparison helps reveal what sets K-pop apart—and how its IP can be expanded across different areas. To be clear, the K-pop IP business is currently facing a crisis.
이호동
테이크원컴퍼니[발표시간] 7/17 (목) 15:00 ~ 15:50
이호동은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에서 광고홍보를 전공했다. 그는 2005년 SM엔터테인먼트에서 마케팅을 담당하여 동방신기, 소녀시대, 슈퍼주니어 등의 런칭을 담당한 엔터테인먼트 전문가로 위메이드에서 모바일 게임 마케팅을 담당하며 <윈드러너>, <에브리타운> 등의 런칭과 제휴마케팅을 담당하였다. 테이크원컴퍼니에서 <BTS WORLD>, <BLACKPINK THE GAME>, <NCT ZONE> 등의 런칭을 담당하였고 현재 IP사업본부를 맡아 IP라이선싱사업과 부가사업을 총괄하고 있다.
Lee Hodong majored in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at the Graduate School of Media and Communication at Sungkyunkwan University. He began his career in 2005 at SM Entertainment, where he was in charge of marketing and played a key role in launching major K-pop acts such as TVXQ, Girls'Generation, and Super Junior, establishing himself as an expert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He later worked at Wemade, where he was responsible for mobile game marketing, including the launch and partnership marketing for titles such as <Wind Runner> and <Everytown>. Currently, he works at Takeone Company, where he led the launches of games such as <BTS WORLD>, <BLACKPINK THE GAME>, and <NCT ZONE>. He now heads the IP Business Division, overseeing IP licensing and secondary revenue businesses.
[강연제목]
K-POP IP를 활용한 OSMU 전략
Leveraging K-Pop IP for OSMU Strategy
[강연내용]
K-POP 아이돌 IP를 활용한 OSMU 사례로 모바일 게임화 서비스 성공 사례를 소개하고 해당 게임콘텐츠를 활용한 부가사업 확장 사례 소개
Introducing a successful case of mobile game adaptation using K-pop idol IP as an example of the OSMU(One Source Multi Use) strategy, along with examples of spin-off business expansion based on the game content.
문소리
아나운서[발표시간] 7/17 (목) 16:00 ~ 16:45
TBD
TBD
김찬헌
TVING[발표시간] 7/17 (목) 16:00 ~ 16:45
김찬헌은 성균관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을 전공하였으며, 2005년 SBS스포츠를 통해 스포츠 콘텐츠 업계에 첫발을 내디뎠다. 이후 3번의 월드컵과 4번의 올림픽을 포함한 국내외 주요 스포츠 빅이벤트와 스포츠 디지털 콘텐츠 기획 및 제작 업무를 담당해왔다. 2024년부터는 TVING으로 이직하여 OTT 업계에서 새로운 커리어를 이어가고 있다.
Kim Chan-hun majored in Media and Communication at Sungkyunkwan University and began his career in the sports content industry in 2005 at SBS Sports. Since then, he has worked on planning and producing digital content for major sports events, including three FIFA World Cups and four Olympic Games. In 2024, he took on a new challenge by joining TVING, where he continues his journey in the OTT industry.
김민정
코리아세븐(세븐일레븐)[발표시간] 7/17 (목) 16:00 ~ 16:45
김민정은 2000년 SK네트웍스에서 패션마케팅을 시작으로 마케팅 분야에서 20년 이상의 경력을 쌓아왔다. CJ올리브영에 재직하며 국내 대표 헬스&뷰티 플랫폼의 디지털 마케팅과 고객 경험 혁신을 주도했다.
2023년부터 코리아세븐 마케팅부문장을 맡아 세븐일레븐의 브랜드 가치를 강화하고 고객 경험 차별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스포츠 팬덤의 마음 속 첫 번째 편의점’ 이라는 비전을 목표로 스포츠 IP와의 협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Kim Min-jung began her career in fashion marketing at SK Networks in 2000 and has over 20 years of marketing experience. At CJ Olive Young, Korea’s leading health and beauty platform, she led digital marketing initiatives and enhanced customer experiences
Since 2023, she has served as the Head of Marketing at Korea Seven, focusing on building the 7-Eleven brand and creating unique customer experiences. She is especially engaged in partnerships with sports brands to position 7-Eleven as ‘the favorite convenience store for sports fans.’
김종호
롯데자이언츠[발표시간] 7/17 (목) 16:00 ~ 16:45
김종호는 2006년에 롯데시네마에서 멀티플렉스 마케팅 업무를 담당하였고, 2010년부터 현재까지 16년간 롯데자이언츠에서 마케팅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스포츠마케팅 전문가이다. 그는 구단의 대표 마케팅활동인 팬사랑페스티벌, 클래식시리즈를 개발하였고, 한국 프로야구에서 처음으로 ‘도라에몽’ 캐릭터를 통해 캐릭터 콜라보 활동을 진행하여 다른 구단의 캐릭터 콜라보가 활발하게 만든 계기를 만들었다. 최근에는 코리아세븐과 함께 ‘마 시리즈’ 제품을 런칭하기도 하였고, 현재는 롯데자이언츠 구단의 경영부문 총괄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He was in charge of multiplex marketing at Lotte Cinema in 2006 and is a sports marketing expert with over 16 years of experience leading marketing for the Lotte Giants. He developed the ‘Fan love festival’ and ‘Classic series’, which are the club's signature marketing activities. Additionally, he pioneered character collaboration activities by introducing "Doraemon"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paving the way for other teams to follow suit. Recently, he launched the "Ma Series" product with Korea Seven, and is currently serving as head of the management division of the Lotte Giants club.
박지영
블루밍테일[발표시간] 7/17 (목) 16:00 ~ 16:45
박지영은 2011년, 홍익대학교에서 시각디자인학을 전공했다. 그는 2015년 LG 전자 CTO 연구소에서 연구원 생활을 했다. 이후 SM Ent.에서 엔터테인먼트 디자인 기획을, 현대차 그룹에서 차량 GUI 디자인을 진행하기도 했다. 그는 2022년 회사 생활을 마무리하고 ‘블루밍테일’이라는 디자인 스튜디오를 설립하였고 CEO로 회사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나가고 있다.
Park ji-young majored in visual design at Hongik University from 2011 to 2014. She worked as a researcher at LG Electronics' CTO Institute in 2015. Since then, she has been involved in entertainment design planning at SM Ent. and vehicle GUI design at Hyundai Motor Group. She concluded her career as an employee at a top-tier company in 2022, founded a design studio called Bloomingtail, and has been successfully leading the company as its CEO.
이자연
씨네21[발표시간] 7/17 (목) 17:00 ~ 17:45
이자연은 2008년 동덕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을 전공했다. 2015년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AROUND>에 입사하여 영화·문학·전시·영상 등 문화 전반을 심층적으로 다루었다. 2021년 미디어 비평서 <어제 그거 봤어?>를 썼으며, 한겨레신문사 칼럼니스트 공모전에 대중문화 비평으로 당선됐다. 2022년부터 <씨네21>의 영화기자로 활동 중이다.
LEE Ja-yeon graduated from Dongduk Women's University in 2008, with a major in English Literature. In 2015, she joined the lifestyle magazine <AROUND> and covered culture in depth, including movies, literature, and videos. In 2021, she wrote a media criticism book titled <Did You Watch That Yesterday?> , and won the Hankyoreh columnist contest for pop culture criticism. Since 2022, she has been working as a film reporter for Cine21.
이우혁
<퇴마록>[발표시간] 7/17 (목) 17:00 ~ 17:45
이우혁은 1991년 서울대학교 기계설계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1994년 소설 <퇴마록>의 첫 단행본이 출간 된 후 <국내편>, <세계편>, <혼세편>, <말세편>, <외전>까지 누적 부수 천만 부 이상의 판매량을 기록하며 한국 장르문학의 전무후무한 기록을 남겼다. 이 밖에 <왜란종결자>, <파이로매니악>, <치우천왕기>, <바이퍼케이션>을 집필했다. 제26회 BIAF 국제경쟁 심사위원, 제48회 안시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 미드나잇스페셜 부문에 공식 초청된 애니메이션 <퇴마록>의 크리에이터를 맡았다.
Lee Woo-hyouk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with a degree in Mechanical Design and completed his graduate studies there in 1991. In 1994, his novel <Toemarok> was first published, achieving unprecedented success in Korean genre literature with over 10 million cumulative copies sold across its series, including <Domestic>, <Global>, <Chaotic World>, <End Times>, and <Side Stories>. He has also authored other notable works such as <The End of the Imjin War>, <Pyromaniac>, <Chiwoo Cheonwanggi>, and <Bifurcation>. Lee Woo-hyouk served as a jury member for the 26th BIAF International Competition and was the creator of the animated film <Exorcism Chronicles: The Beginning>,which received an official invitation to the Midnight Special section at the 48th Annecy International Animation Film Festival.
김동철
로커스[발표시간] 7/17 (목) 17:00 ~ 17:45
김동철 감독은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를 졸업했다. 2013년에는 단편 애니메이션 <파노라마>를 연출하며 부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 특별상을 수상, 능력을 인정받았다. 이후 ㈜로커스에서 애니메이션 시리즈 <런닝맨 파트2> 감독으로 활동하며 경험을 쌓았고, 2025년 제작한 오컬트 블록버스터 애니메이션 영화 <퇴마록> 감독을 맡아 50만 관객을 돌파하며 한국 성인 타겟 장르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Kim Dong-chul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Aniation at Chungkang Culture Industries University. In 2013, he directed the short animated film <Panorama>, earning a Special Award at the Bucheon International Animation Festival and receiving critical acclaim. He then gained further experience as the director of the animated series <Running Man Part 2> at Locus Corporation. In 2025, he directed the occult blockbuster animated film <Exorcism Chronicles: The Beginning>, which surpassed 500,000 admissions, opening new horizons for Korean adult-oriented genre animation.
두일철
한국외국어대학교[발표시간] 7/18 (금) 11:00 ~ 11:45
두일철은 문화콘텐츠(CT) 박사로, 콘텐츠·AI·SW 융합교육 및 정책기획 전문가이다. 동국대 SW 융합교육센터장을 거쳐 현재 한국외대 컴퓨터공학부/AI교육단 교수이자 센터장으로 재직 중이며, 다수의 융합인재 양성 사업을 총괄하고 있다.
Doo Il-Chul holds a Ph.D. in Cultural Technology (CT) and is a specialist in content, AI, and software convergence education and policy planning. After serving as Director of the SW Convergence Education Center at Dongguk University, he is currently a professor and head of the AI Education Division in the School of Computer Engineering at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He leads numerous projects focused on cultivating interdisciplinary talent.
이낙준
<중증외상센터 : 골든아워>[발표시간] 7/18 (금) 11:00 ~ 11:45
이낙준은 2010년 인하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인하대학교 병원에서 인턴 과정을 시작했다. 2011년부터는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에서 전공의 과정을 시작해 2015년 전문의 자격증을 획득했다. 2016년 말부터 웹소설을 쓰기 시작해 2017년에는 제3회 대한민국 웹소설 공모대전에서 웹소설 <의술의 탑>으로 우수상을 수상했다. 2023년에는 제10회 SF 어워드 웹소설 부문에서 <A.I.닥터>로 대상을 수상했다. 2025년, <중증외상센터 : 골든아워>를 원작으로 한 넷플릭스 시리즈 <중증외상센터>가 런칭하여 글로벌 순위 2위에 올랐다.
Lee Nak-jun graduated from Inh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n 2010 and began his internship at Inha University Hospital, followed by a residency in the Otolaryngology Department at Samsung Seoul Hospital in 2011. He earned his specialist license in 2015. He began writing web novels in late 2016, and in 2017, he won the Excellence Award for Web Novel <Medicine Tower> at the 3rd Korea Web Novel Contest. In 2023, he received the grand prize in the web novel category at the 10th SF Awards for <A.I. Doctor>. In 2025, the Netflix series <The Trauma Code: Heroes on Call>, based on the original <Trauma Center: Golden Hour>, was launched and ranked 2nd in the global rankings.
여상훈
빅드림[발표시간] 7/18 (금) 11:00 ~ 11:45
여상훈은 ㈜빅드림 경영혁신실장으로, <티처스>라는 교육용 완구 브랜드를 기획하고 SW·AI 기반 교육용 KIT 개발에 힘써왔다. 아주대학교 미디어학부를 졸업한 뒤 한국콘텐츠진흥원, 글로랑, 한국가이던스 등에서 콘텐츠·에듀테크 사업을 총괄하며 다양한 디지털 교육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한류 콘텐츠 IP의 교육적 활용과 융합 가능성에 주목하며, 현장 중심의 실용적인 에듀테크 솔루션을 확산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Sanghoon Yeo is the Head of Innovation at VICDREAM Co., Ltd., where he planned and launched the educational toy brand <Teachers> and has been dedicated to developing SW·AI-based educational kits. A graduate of Ajou University with a degree in Media Studies, he has led various digital education projects at organizations such as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Glorang, and Korea Guidance. He is particularly focused on the educational application and integration potential of Hallyu content IP, striving to expand practical EdTech solutions grounded in real-world learning environments.
이재명
BKU 인베스트먼트[발표시간] 7/18 (금) 13:00 ~ 13:50
이재명은 연세대학교에서 생명공학과 영상예술학을 전공한 이후, 폴라리스오피스(전 인프라웨어), 팬택을 거친 후 게임 산업계로 합류하였다. 인프라웨어 게임즈, 넥슨, 블리자드에서 <미니모터레이싱>, <마비노기듀얼>, <하스스톤>, <디아블로모바일> 등의 국내외 사업 및 제휴를 담당하였다. 이후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의 콘텐츠부분 투자심사역으로 활동 후 현재는 BKU 인베스트먼트에서 활동하고 있다.
Jamie Jaemyung Lee majored in Biotechnology and Visual Arts at Yonsei University. He began his career at Polaris Office (formerly Infraware) and Pantech before transitioning into the gaming industry. He has led business development and partnerships for titles such as <Mini Motor Racing>, <Mabinogi Duel>, <Hearthstone>, and <Diablo Immortal> at Infraware Games, Nexon, and Blizzard Entertainment. He later served as an investment professional in the content sector at Atinum Investment and is currently active at BKU Investment.
이형원
구글[발표시간] 7/18 (금) 13:00 ~ 13:50
이형원은 연세대학교에서 영문학과 불문학을 전공했다. 그는 2002년 영화 투자 배급사 미로비젼에서 경력을 시작했으며, 이후 파인웍스 스튜디오와 더코어스튜디오에서 영화 프로젝트 개발 및 해외 세일즈를 담당했다.
2007년 NHN에 합류하며 게임 업계로 전환한 후 PC 온라인 게임의 IP 라이선싱 및 글로벌 출시 전략을 이끌었다.
2014년 6월에는 구글에 비즈니스 개발 매니저로 입사하여 국내 개발사의 글로벌 진출 전략을 담당했다. 2017년 10월부터는 구글플레이의 한국 게임 파트너십 총괄을 맡아 주요 게임사와의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Jamie Lee majored in English Literature and French Literature at Yonsei University. She began her career in 2002 at Mirovision, a film investment and distribution company, and later handled film project development and overseas sales at Fine Works Studio and The Core Studio.
After transitioning to the game industry by joining NHN in 2007, she led IP licensing and global launch strategies for online PC games.
In June 2014, she joined Google as a Business Development Manager, where she was responsible for the global expansion strategy for domestic developers. Since October 2017, she has served as the Head of Korea Games Partnerships at Google Play, building partnerships with major game companies.
남주연
틸팅포인트 코리아[발표시간] 7/18 (금) 13:00 ~ 13:50
남주연은 2008년 네오위즈게임즈를 시작으로, EA 코리아, 페이스북 싱가폴,(Facebook Singapore) 등의 국내외 게임 기업에서 약 17년간 근무하며, 한국 및 아시아 시장을 대상으로 비즈니스 개발과 마케팅 전략을 수행해왔다. 현재는 북미 게임사 틸팅포인트(Tilting Point)의 한국 및 일본 총괄을 맡아, UA 펀딩, 퍼블리싱, M&A 등 아시아게임 개발사의 스케일업을 서포트하고 있다
Lea Nam began her career in 2008 at Neowiz Games and has since held roles at EA Korea, and Facebook Singapore, accumulating over 17 years of experience in business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y across the Korean and broader Asian markets. She currently serves as GM for Korea and Japan at Tilting Point, where she supports the scale-up of Asian game developers through UA funding, publishing partnerships, and M&A initiatives.
김지인
그램퍼스[발표시간] 7/18 (금) 13:00 ~ 13:50
김지인 대표는 홍익대학교 예술학부와 기계공학을 전공하였으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를 졸업하였다. 이후 라이코스코리아와 다음커뮤니케이션의 마케팅 업무를 수행하였다. 2004년부터는 아이지에이웍스, 엔씨소프트, 넥슨코리아 등에서 사업전략 및 신사업기획을 전개했다. 2014년 그램퍼스를 설립하고 캐주얼 소셜게임을 기반으로 글로벌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방탄소년단의 지적재산권으로 개발한 <BTS쿠킹온>, <마이리틀셰프>, <Cooking Adventure> 등의 게임 타이틀이 있으며, 현재까지 약 5천만 이상의 다운로드 성과를 만들어냈다. 20여 년 간의 미디어 및 게이밍 섹터에서 다양한 경험과 사업개발을 전개하며 글로벌시장을 만나는 중이다.
Kay Jee-in Kim majored in both Fine Arts and Mechanical Engineering at Hongik University, and earned a master's degree from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e began his career in marketing at Lycos Korea and Daum Communications. Since 2004, he has led business strategy and new business development at companies such as IGAWorks, NCSOFT, and Nexon Korea. In 2014, he founded GRAMPUS and has since expanded its global business based on casual social games. His notable works include game titles such as <BTS Cooking On> (developed under the BTS intellectual property), <My Little Chef> and <Cooking Adventure>, achieving over 50 million downloads to date. With over 20 years of experience in the media and gaming sectors, he continues to lead business development and engage with global markets.
강석곤
데브시스터즈[발표시간] 7/18 (금) 13:00 ~ 13:50
강석곤은 중앙대학교에서 사진학을 전공했다. 그는 2022년에 데브시스터즈에 입사하기 전에 NCSOFT에서 IP 제휴사업과 NC다이노스 브랜딩 제휴를 담당하기도 했다. 현재 그는 데브시스터즈에서 쿠키런 IP 비즈니스와 브랜딩을 이끌고 있으며, 브랜드 콜라보, 오프라인 팬 페스티벌 & 쿠키런 스토어, 쿠키런 카드게임(TCG) 등 쿠키런IP가 게임을 넘어 글로벌 IP로 성장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들을 전개하고 있다.
Seokgon Kang majored in Photography at Chung-Ang University and has built a career at the intersection of creative content and brand strategy. Prior to joining Devsisters in 2022, he worked at NCSOFT, where he managed IP partnerships and branding collaborations for NC Dinos. At Devsisters, he currently oversees the CookieRun IP business and brand strategy, driving its evolution into a global franchise. His work spans large-scale brand collaborations, offline fan festivals, the CookieRun Store, and the development of new IP extensions such as the CookieRun trading card game (TCG).
이민정
네오위즈[발표시간] 7/18 (금) 13:00 ~ 13:50
이민정은 베이징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네오위즈 글로벌 사업 PM으로 게임 업계에 입문했다. 이후 카카오에서 사업 개발역으로 <쿵푸팬더>, <음양사> 등의 글로벌 타이틀을 소싱하였고, 웹툰 산업과 크립토 씬을 거쳐 다시 네오위즈 투자사업본부에서 소싱, 세일즈, 투자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현재 네오위즈가 투자한 개발사의 사업 지원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글로벌 7,500만 다운로드를 기록한 게임 <고양이와스프>의 개발사 하이디어에서 사업실장을 겸직하면서 애니메이션과 상품화 등 다양한 IP 사업 확장에 주력하고 있다.
Minjeong Lee graduated from Peking University with a degree in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and began her career in the gaming industry as a Global Project Manager at Neowiz. She later joined Kakao as a Business Development Manager, where she licensed global titles such as <Kung Fu Panda> and <Onmyoji>. After gaining experience in the webtoon and crypto industries, she returned to Neowiz to join the Investment Division, where she is responsible for sourcing, sales, and investment. Currently, she supports portfolio companies backed by Neowiz, and also serves concurrently as Head of Business at Hidea, the developer of <Cats & Soup>, which has achieved over 75 million downloads globally. In this role, she focuses on expanding the company’s IP business through animation, merchandising, and other initiatives.
안수진
WildBrain CPLG[발표시간] 7/18 (금) 14:00 ~ 14:50
안수진은 2003년 캐나다에서 미술과 패션을 전공한 후, 2004년부터 외국계 기업에서 디자이너로 근무했다. 2008년 마텔에 디자이너로 입사 후 홍콩, 중국, 대만과 일본을 책임 하다 라이선스 사업을 맡아 마텔의 한국 사업을 총괄하였다. 현재는 WildBrain CPLG 한국 지사장으로서, <피너츠>와 <텔레토비>를 비롯해 <퍼글러>, <플레이모빌> 등 다양한 글로벌 브랜드의 현지화와 라이선스 사업 확장을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다.
Soojin Ahn majored in Fine Arts and Fashion Design in Canada. She began her career in 2004 as a designer. In 2008, she joined Mattel as a designer and transitioned into licensing business management, later becoming Head of Consumer Products for Mattel Korea. She is now Commercial Director at WildBrain CPLG Korea, driving the localization and licensing of global brands like <Peanuts>, <Teletubbies>, <Fugglers>, and <Playmobil>.
[강연제목]
피너츠와 글로벌 IP의 현지화
Localization Strategies for Global IPs Beyond Peanuts
[강연내용]
<스누피>, <텔레토비> 등 WildBrain CPLG에서 전개하고 있는 다양한 글로벌 IP 비즈니스 사례 및 현지화 사업 소개
Global IP Business Cases and Localization Strategies at WildBrain CPLG – featuring <Peanuts>, <Teletubbies>, and more
Bianca Lee
Rights & Brands Asia Limited[발표시간] 7/18 (금) 14:00 ~ 14:50
Bianca Lee는 라이선싱 업계에서 20년 이상의 풍부한 경험을 가진 베테랑이다. 2021년 RBA를 설립하기 전 글로벌 라이선싱 및 리테일 머천다이징 분야의 선두기업인 워너브라더스 컨슈머 프로덕트(Warner Bros. Consumer Products)의 아시아 지역 본부를 이끌었다.
Bianca의 리더십 아래 RBA는 홍콩 본사를 기점으로 빠르게 사업을 확장해 중화권, 동남아시아, 한국으로 영역을 넓혀 나가고 있으며, 무민(Moomin), 오판츄우사기(Opanchu Usagi), 쇼짱(Sho-chan), 토미카(Tomica), 리틀 코기 큐티즈(Little Corgi Cuties) 등 유명 브랜드들을 포함해 자사의 지식재산 포트폴리오를 크게 확장시켰다.
스와이어 그룹 홍콩 지사의 경영 연수생으로 커리어를 시작하여 스와이어 코카콜라,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하이네켄을 포함한 다수의 글로벌 기업에서 경력을 쌓은 그녀는 토론토대학교에서 상학(Commerce)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Bianca Lee is a seasoned veteran in the licensing industry with over 20 years of experience. Before founding RBA in 2021, she led the Asia regional office of Warner Bros. Consumer Products, a global leader in licensing and retail merchandising.
Under Bianca's leadership, RBA has rapidly expanded its operations from its headquarters in Hong Kong to Greater China, Southeast Asia, and Korea. The company has significantly grown its intellectual property portfolio, encompassing renowned brands such as Moomin, Opanchu Usagi, Sho-Chan, Tomica, Little Corgi Cuties, and many more.
Bianca's extensive career included roles with multinational corporations like Swire Coca-Cola, British American Tobacco, and Heineken. She started her career as a Management Trainee for the Swire Group, Hong Kong. Bianca holds a Bachelor of Commerce degree from the University of Toronto.
[강연제목]
라이선싱 성공 이야기: 브랜드를 기념하며, 지속 성장을 설계하다
Licensing Success: Celebrating Brands and Building Long-Term Growth
[강연내용]
발표개요:
RBA 소개
회사 개요
서비스 철학
포트폴리오 소개
무민 80주년
장기적 성장을 위한 전략의 성공적 이행 사례 분석
Outline:
Introduction of RBA
– our company background
- our servicing philosophy
- our portfolio
Moomin's 80th Anniversary – a case study of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trategies which are set for long term growth.
안재석
라인프렌즈 IPX[발표시간] 7/18 (금) 15:00 ~ 15:50
TBD
TBD
[강연제목]
TBD
TBD
[강연내용]
TBD
TBD
김원정
아이코닉스[발표시간] 7/18 (금) 15:00 ~ 15:50
김원정은 이화여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2001년 아이코닉스 해외사업팀에 합류하여 2011년까지 아이코닉스 IP의 해외세일즈 업무를 맡았다. 이후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아이코닉스의 완구사업 부문에서 제작 관리, 영업 및 개발팀을 담당하였고, 2019년 8월 아이코닉스의 중국법인으로 발령받아 <뽀로로>, <타요> 등의 중국 지역 배급과 라이선싱, IP 관리를 이끌었다. 2023년 중국 내 <잔망루피>의 사업을 성공적으로 런칭하였고, 계속해서 <잔망루피>와 <뽀로로>를 비롯한 아이코닉스 IP들의 다양한 중국 사업을 주도하고 있다.
Kim Won-Jung graduated from Ewha Womans University with a degree i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joined Iconix in 2001, responsible for global sales of Iconix IPs. From 2011 to 2019, she led the production management, sales, and development teams of Iconix's Toy Merchandising division. In August 2019, she moved to Iconix's China branch, where she has been in charge of media distribution, licensing, and IP management for <Pororo the Little Penguin> and <Tayo the Little Bus> in China. In 2023, she successfully launched <Zanmang Loopy> in China and continues to spearhead various projects for Iconix IPs in the region.
[강연제목]
<잔망루피> 사례를 통한 중국 캐릭터 IP 사업 전략
[강연내용]
잔망루피 사례를 통한 중국에서의 캐릭터 IP 사업 전략 공유
Sharing the strategic know-how and processes of launching and enhancing a character IP business in China, based on the <Zanmang Loopy> case
김현경
케이비젼[발표시간] 7/18 (금) 15:00 ~ 15:50
김현경은 일본 Sophia University 대학원에서 신문방송학 석사를 수료했다. 재학 중에는 KBS 2TV <한국이 보인다> 글로벌 카메라 코너의 VJ리포터 및 <도쿄통신> 리포터 등 활동하였다. 졸업 후에는 후지TV(<초난강>담당), 스미토모W/H, 도쿄 국제 애니메이션 페어 사무국(TAF:관광부), 일본 최초한류잡지 ‘H.C.P’ 등에서 근무했다. 귀국 후에는 TAF 한국사무소 소장을 거쳐 2010년 콘텐츠라이선싱 전문 에이전트사인 ㈜케이비젼 설립하였다.
[2012~16년]
- 일본 캐릭터비즈니스 포털매체 ‘Charabiz’에 매달 컬럼 연재.
[2020~25년]
- 영국 IP라이선싱 전문매체 ‘Total Licenisng’ 컬럼기사 연재.
[2015~25년]
- 현재 일본여성경영자협회 ‘에메랄드클럽’의 한국지부장
[2020~25년]
- 현재 한국여성캐릭터협회 부회장
[2020년 12월]
- 한국콘텐츠대상 캐릭터부문 <흔한남매> 한국콘텐츠진흥원장상 수상
[2024년 12월]
- 한국콘텐츠대상 캐릭터부문 <슈야>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수상
H.K KIM graduated from Sophia University, Japan, with a master's degree in journalism and broadcasting. During graduate school, she worked as a VJ reporter for KBS 2TV's <Korea Seen> Global Camera and a reporter for the <Tokyo Telegraph>. After graduation, she worked at Fuji TV (in charge of <ChoNanKan>), Sumitomo W/H, Tokyo Int'l Anime Fair Secretariat (TAF), and Japan's first Korean Wave magazine ‘H.C.P’. After returning to Korea, she served as the director of TAF's Korea office and founded K VISION INC., a content licensing agency, in 2010.
From 2012 to 2016, she wrote a monthly column for ‘Charabiz’, a Japanese character business portal Media. From 2020 to 2025, she wrote a column for ‘Total Licensing’ a UK IP licensing magazine. ‘Emerald Club’(Japanese association of women business executives) Korea Chapter, Vice President of ‘the Korea Women's Character Association’ from 2020to2025. In December 2020, she received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President's Award(Character category) at the Korea Content Awards for <Sibling War>. In December 2024, she was honored with the Minister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ward(Chracter category) for <SHUYA> at the same awards.
[강연제목]
캐릭터 IP <에스더버니> 의 국내 및 해외 마케팅 전략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ing strategies for character IP <Esther Bunny>
[강연내용]
일본 전개 1년 반 만에 일본 Z세대가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 No.1 으로 뽑히기까지의 여정을 중점적으로.
Focusing on the journey to becoming the No. 1 favorite character of Gen Z in Japan within a year and a half of its release.
Maura Regan
Licensing International[발표시간] 7/18 (금) 16:10 ~ 16:45
Maura Regan은 글로벌 소비자 제품과 브랜드 라이선싱 그리고 미디어 분야에서 20년 이상의 경력을 지녔으며, 라이선싱 인터내셔널(LI)의 임원이자 이사장으로 재직한 후 2018년 7월부터 CEO를 역임하고 있다. 그녀는 글로벌 브랜드 라이선싱의 선두 주자인 LI의 미래 전략을 수립하면서 라이선싱 산업의 글로벌한 성장과 확대를 촉진하는 한편 브랜드 라이선싱이 지니는 가치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해 힘쓰고 있다.
<세서미 스트리트>를 제작한 비영리 기관인 Sesame Workshop에서 글로벌 소비자 제품 책임자로 해당 기관의 핵심적인 박애주의적 목적을 뒷받침하는 비지정 기부금 확보를 중심으로 전략적 상업 이니셔티브를 추진한 바 있다. Sesame Workshop에서 17년간 열정적으로 근무한 그녀는 앞서 MTV Networks, Scholastic Entertainment, The Jim Henson Company에서 임원으로 재직한 바 있으며, 미-일 재단 리더십 프로그램 회원이자 The Toy Foundation and Women in Toys에서 고문을 맡고 있다. 매사추세츠 애머스트 대학에서 미술사 학사를 취득하였고 IrishAmerica 매거진에서 비즈니스 탑 리더로 선정되기도 한 그녀는 K.I.D.S. (현 Delivering Good)으로부터 Women of Achievement상을 수상했다. 현재 가족과 함께 뉴욕에 거주하고 있다.
Bringing more than 20 years of global consumer products, brand licensing and media experience, Maura has been President and CEO of Licensing International (LI) since July 2018 after serving as a board member and chair. LI is the premier association for the global brand licensing industry, and Maura is responsible for leading the organization in defining and shaping its future focus. This has and will continue to include fostering the growth and expansion of licensing around the world and creating greater awareness of the benefits of brand licensing to the business community at large.
As the former head of global consumer products at Sesame Workshop, the home of <Sesame Street>, Maura drove the non-profit organization's strategic commercial initiatives with a focus on delivering significant unrestricted revenue to support the overarching philanthropic goals for the organization.
Prior to Sesame Workshop, where she enjoyed an exhilarating 17-year tenure, Maura held executive positions with MTV Networks, Scholastic Entertainment and The Jim Henson Company.
Maura is a standing fellow of the US-Japan Foundation Leadership Program and on the advisory board of The Toy Foundation and Women in Toys. She earned a Bachelor of Arts degree in Art History from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t Amherst. Recognized as a top leader in business by Irish America magazine, Maura was also a recipient of the K.I.D.S. (now Delivering Good) Women of Achievement Award. Maura resides in NYC with her family.
[강연제목]
글로벌 라이선싱 산업 동향
State of the Licensing Industry
[강연내용]
TBD
TBD
김성훈
씨네21[발표시간] 7/18 (금) 17:00 ~ 17:45
김성훈은 2008년부터 영화주간지 씨네21에서 취재기자, 취재 팀장으로, 2022년 디지털콘텐츠본부장을 맡아 브랜디드 콘텐츠, SNS, 동영상, 웹페이지 보도를 기반으로 한 탐사취재 등 다양한 콘텐츠를 기획, 제작하고 있다. 씨네21 입사 전에는 <경계>(감독 장률, 2006), <사랑>(감독 곽경택, 2007) 등의 여러 영화에서 조감독으로 활동했다. 책 <21세기 한국영화>(엮음 한국영상자료원)에 공저자로 참여해 ‘산업 정책: 한국영화 생태계의 변화’ 챕터를 썼다. 최근에는 홍경표, 정정훈 촬영감독을 다룬 책 <빛의 설계자들>(펴냄 플레인아카이브)을 썼다.
KIM Seong-hoon started as a Journalist at CINE21 in 2008 and has been serving as the director of the digital content department since 2022, where he has planned and produced various types of content including branded content, social media articles, video clips, and digital-based investigative coverage. Before joining CINE21, he worked as an assistant director for films such as <Desert Dream, 2006>(directed by Zhang Lu), <A Love, 2007>(directed by Kyung-taek Kwak). He also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of the book titled <21st century Korean Films> as a co-author, writing the chapter ‘Industrial Policy: Change in the ecosystem of the Korean film industry.’Recently, he wrote the book <Designers of Light>(published by Plain Archive), which features cinematographers Alex Hong and Chung-hoon Chung.
원동연
리얼라이즈픽쳐스[발표시간] 7/18 (금) 17:00 ~ 17:45
원동연은 1990년 경희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을 전공했다. 그는 1995년에 <존을 갖고 튀어라>의 각본가로 영화계에 입문하였다. 그는 지난 30년간 11편의 영화를 제작하였다.
Won Dong Yeon entered the film industry as a screenwriter in 1995 and has produced 11 films over the past 30 years.
김병우
리얼라이즈픽쳐스[발표시간] 7/18 (금) 17:00 ~ 17:45
- 2008년 한양대학교 연극영화과 졸업
- 2013년 <더 테러 라이브> 각본/감독
- 2018년 <PMC:더 벙커> 각본/감독
- 2025년 <전지적 독자 시점> 각본/감독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Teater and Film at Hanyang University in 2008
2013 – <The Terror Live> Screenwriter / Director
2018 – <PMC: The Bunker> Screenwriter / Director
2025 – <Omniscient Reader's Viewpoint> Screenwriter / Director